ads.txt파일 찾을 수 없음


구글 애드센스(AdSense)에서 "ads.txt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오류 메시지를 접한 경우, 이는 광고 수익을 발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ads.txt 파일이 웹사이트에 제대로 설정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이 파일은 광고 네트워크와의 관계를 명확히 하고, 광고 수익을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입니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ads.txt파일을 갑자기 찾을 수 없는 이유

ads 파일을 찾을 수 없는 이유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구글 봇이 최신 ads.txt 파일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애드센스에서는 광고 수익을 정확하게 추적하기 위해 웹사이트에 ads.txt 파일을 반드시 업로드해야 합니다.

이 파일이 최신 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면 구글 봇이 파일을 올바르게 로드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구글 봇이 웹사이트를 크롤링할 때, ads.txt 파일의 업데이트가 지연되거나 일시적인 오류로 인해 파일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는 보통 시간이 지나면서 해결되지만, 이 과정에서 "ads.txt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오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HTTP와 HTTPS 경로 리디렉션에서 발생을 하는 에러


리디렉션 경로 문제

HTTP와 HTTPS 경로에서 발생하는 에러도 ads.txt 파일을 찾을 수 없는 주요 원인입니다. 

웹사이트에 HTTP와 HTTPS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하면, 구글 봇은 어느 경로에서 파일을 찾을지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만약 HTTP 경로에서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404 오류가 발생하면, 구글 봇은 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ads.txt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HTTPS 경로에서만 접근 가능한 경우, 이 경로에서만 파일을 확인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HTTP에서 HTTPS로 리디렉션을 설정하거나 두 경로에서 모두 ads.txt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HTTP와 HTTPS 경로에서 발생하는 에러 해결방법


항목 설명 해결 방법
HTTP와 HTTPS의 차이 - HTTP: 보안 미적용, 데이터 암호화 없음.
- HTTPS: 보안 적용, 데이터 암호화.
- 구글은 HTTPS를 우선시하며 보안이 강화된 사이트를 선호.
문제 발생 원인 HTTP와 HTTPS 경로가 동시에 존재할 때, 구글 봇이 어느 경로에서 ads.txt 파일을 찾을지 결정하지 못함. - 구글 봇이 혼동하여 파일을 찾지 못하거나, HTTP 경로에서 404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
HTTP 경로 오류 - HTTP 경로에서 ads.txt 파일을 찾을 수 없거나 404 오류 발생.
- HTTP에서 ads.txt 파일 누락 시, 구글 봇이 파일을 인식하지 못함.
- ads.txt 파일을 HTTPS 경로로만 두거나, HTTP에서 HTTPS로 자동 리디렉션 설정.
HTTPS 경로 오류 - ads.txt 파일이 HTTPS 경로에서만 존재할 경우, HTTP 경로에서는 접근 불가능.
- 구글 봇이 두 경로를 모두 확인해야 하므로 혼동 발생 가능.
- HTTPS 경로에서만 관리하거나, HTTP에서 HTTPS로 리디렉션 설정.
해결 방법 1: 리디렉션 설정 - HTTP에서 HTTPS로 자동 리디렉션 설정.
- 구글 봇이 항상 HTTPS 경로에서 파일을 확인하도록 유도.
- 서버의 .htaccess 파일을 수정하여 HTTP 요청을 HTTPS로 자동 리디렉션 설정.
해결 방법 2: 두 경로 모두 파일 배치 - HTTP와 HTTPS 경로 모두에 동일한 ads.txt 파일 배치.
- 구글 봇이 두 경로에서 모두 파일을 찾을 수 있도록 설정.
- 두 경로에서 ads.txt 파일을 동일하게 관리하고 일관되게 유지.
해결 방법 3: HTTPS 경로만 사용 - ads.txt 파일을 HTTPS 경로에서만 유지.
- HTTP 경로에서의 접근을 차단하거나 HTTPS로 리디렉션 설정.
- HTTPS 경로에서만 파일을 유지하고, HTTP에서의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
보안 및 SEO - HTTPS 경로가 보안과 SEO 측면에서 유리.
- 구글은 HTTPS가 적용된 사이트를 선호.
- HTTPS 경로에서만 ads.txt 파일을 관리하는 것이 보안과 SEO 측면에서 더 안전하고 효과적.
파일의 일관성 - HTTP와 HTTPS 경로에서 동일한 ads.txt 파일을 사용해야 함.
- 파일 내용의 일관성 유지가 중요.
- 두 경로에서 동일한 ads.txt 파일을 관리하여 구글 봇이 이를 인식하도록 해야 함.

HTTP 리디렉션 문제 다음으론 자주 발생하는 에러 사항으론 블로그 이전 문제가 큽니다

블로그 이전 문제

웹사이트나 블로그를 새로운 도메인으로 이동시키면, 도메인 권한 설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구글 애드센스를 사용하는 경우, 도메인을 변경할 때 새 도메인에 대한 권한이 제대로 설정되지 않으면 ads.txt 파일을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는 광고 수익 추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더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도메인 변경 시 자주 발생하는 오류 도메인 변경 후, 기존의 ads.txt 파일을 새 도메인에 맞게 업데이트하지 않으면 구글 봇은 새로운 도메인에서 이를 찾지 못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원래 www.oldsite.com에서 운영되던 웹사이트가 www.newsite.com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해봅시다. 만약 ads.txt 파일을 새로운 도메인에 맞게 설정하지 않으면, 구글은 구버전 도메인에서의 파일을 참조하려 하므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국내에선 도메인 사이트 중에선 가비아가 제일 유명하기 때문에 가비아를 예시로 알려드릴게요.


예시: 가비아에서 도메인 변경 후 ads.txt 파일 배치 과정

기존 도메인 설정 확인

  • 예를 들어, 웹사이트가 www.oldsite.com에서 운영되었을 때, ads.txt 파일은 www.oldsite.com/ads.txt 경로에 있어야 합니다.

새 도메인 등록

  • 도메인을 가비아에서 www.newsite.com으로 변경했다고 가정합니다. 이때 가비아에서는 도메인 변경을 할 때 DNS 설정이나 호스팅 서비스를 통해 새 도메인에 맞는 서버를 설정해야 합니다.

새 도메인에 ads.txt 파일 배치

  • 도메인을 변경한 후, www.newsite.com의 루트 디렉토리에 ads.txt 파일을 올바르게 배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www.newsite.com/ads.txt 경로에 파일을 넣어야 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권한 업데이트

  • 새 도메인으로 변경한 후, 구글 애드센스에 새로운 도메인을 등록하고 ads.txt 파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구글 애드센스에서는 도메인 변경에 따라 자동으로 새 도메인의 권한을 확인하게 됩니다.

확인 작업

  • ads.txt 파일이 새 도메인의 루트 디렉토리에 정확히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한 후, 구글 애드센스에서 권한이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점검합니다. 구글 애드센스의 대시보드에서 ads.txt 파일이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변경 후 주의사항

  • 새 도메인 루트 디렉토리에 파일 배치
    새 도메인으로 이동했을 때, ads.txt 파일은 반드시 새 도메인의 루트 디렉토리에 위치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구글 애드센스가 이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구글 애드센스 권한 확인
    도메인 변경 후, 반드시 구글 애드센스 대시보드에서 새 도메인에 대한 권한을 확인하고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광고 수익 추적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합니다.

  • SEO 영향
    도메인을 변경하면, 구글이 새 도메인에 대한 SEO 평가를 새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ads.txt 파일 설정을 빠르게 완료하고 구글 봇이 새 도메인을 빠르게 크롤링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인 설명 해결 방법
로봇.txt 파일 에러 구글 봇이 ads.txt 파일에 접근을 차단하는 설정이 있을 경우 발생. robots.txt 파일에서 구글 봇이 ads.txt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설정을 추가.
파일 위치 및 권한 문제 ads.txt 파일이 루트 디렉토리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있거나 권한 설정 문제 발생. ads.txt 파일을 루트 디렉토리에 위치시키고, 모든 사용자가 읽을 수 있는 권한을 설정.
캐시 문제 서버나 웹사이트에서 캐시가 갱신되지 않아 구글 봇이 구버전 파일을 읽을 때 발생. 캐시를 삭제하고 최신 파일을 구글 봇이 읽을 수 있도록 갱신.

ads.txt파일 찾을 수 없음 해결 방법

이제 위에 나오는 대표적인 3가지를 해결을 했다면 이제 애드센스 페이지에서 ads.txt파일 찾을 수 없음을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위 나오는 손가락을 따라서 클릭을 해서 해결을 해보세요

ads파일 찾을 수 없음 해결하기 클릭

사이트 클릭

ads.txt파일 업데이트

ads파일 찾음

ads.txt 파일 접속

ads.txt 찾을 수 없음 상태가 된 사이트 도매인 옆에 /ads.txt파일로 접속을 했을 때 접속이 완료가 되면 에러가 해결이 된겁니다!

ads.txt파일을 찾을 수 없음이 나오는 10가지 이유

ads 파일 에러 이슈
  1. 업데이트 오류
    구글 봇이 최신 ads.txt 파일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크롤링 시 파일 업데이트가 지연되거나 일시적인 오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HTTP와 HTTPS 경로 오류
    HTTP와 HTTPS 경로에서 파일이 다르게 설정되거나 한 경로에서만 접근 가능한 경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두 경로에서 모두 ads.txt 파일을 확인해야 합니다.

  3. 도메인 권한 문제
    웹사이트나 블로그를 새 도메인으로 이동하면, 새 도메인의 권한 설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도메인 변경 후 새 도메인에 맞게 파일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4. robots.txt 파일 설정 오류
    robots.txt 파일이 구글 봇의 ads.txt 파일 접근을 차단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글 봇이 파일을 크롤링할 수 있도록 robots.txt 설정을 수정해야 합니다.

  5. 파일 위치 및 권한 문제
    ads.txt 파일이 웹사이트의 루트 디렉토리에 존재하지 않거나 잘못된 위치에 있을 경우, 구글 봇이 이를 찾지 못합니다. 파일은 반드시 루트 디렉토리에 위치해야 하며, 적절한 읽기 권한이 필요합니다.

  6. 캐시 문제
    웹서버나 브라우저의 캐시 문제로 인해 구글 봇이 최신 ads.txt 파일을 읽지 못할 수 있습니다. 캐시를 삭제하거나 갱신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7. 잘못된 파일 형식
    ads.txt 파일이 텍스트 형식이 아닌 다른 형식으로 저장되면 구글 봇이 이를 인식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txt 형식으로 저장해야 합니다.

  8. DNS 설정 문제
    DNS 설정이 잘못되어 구글 봇이 사이트를 제대로 크롤링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DNS 설정을 확인하여 문제가 없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9. 서버 응답 지연
    서버 응답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장애가 발생하면 구글 봇이 파일을 확인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서버 상태와 응답 시간을 점검해야 합니다.

  10. 웹사이트 접근 제한
    웹사이트의 방화벽이나 보안 시스템이 구글 봇의 접근을 제한하는 경우에도 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안 설정을 확인하고 구글 봇의 접근을 허용해야 합니다.